본문 바로가기

자격증/학교사회복지 사회복지사

학교사회복지 (1급)사회복지사/학교사회복지사 업무, 취득과정/교육복지우선사업

728x90
반응형

학교사회복지의 개념

학교에서 발생하는 학생들의 문제는 학생 개인만의 문제가 아니고 개인을 둘러싼 환경과 상호작용으로 보고 있다. 학교사회복지는 "교육의 본질적인 목적을 달성하고, 학생 복지를 실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교육기능의  한 부분이고 사회복지의 전문분야"라고 정의하고 있다.(학교사회복지사협회)

 

학교사회복지사 취득과정

사회복지사 1급 자격증 취득 후 학교사회복지론 이수, 아동복지론 또는 교육학 과목 이수, 그리고 아랴 세 가지 조건 중 한 가지를 충족해야 응시 가능

                                  ①  ↓평가시험 :  사회복지기초 (50문항), 학교사회복지실천(75문제), 사회복지정책과 제도(75문항) 

1. 240시간 이상의 학교실습을 마친 사람

2. 초/중/고교에서 학생 복지전담 6개월 이상의 근무경력이 있는 사람

3. 사회복지기관에서 학교 관련 실무를 1년 이상 담당한 사람

 

                                                                             ②  ↓  면접시험 (학교사회복지에 관한 적성과 지식)

                                                                             ③  ↓ 자격연수

                                                                             자격증 발급

 

※1차 시험과목 영역(1급)

사회복지 기초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25문항), 사회복지조사론(25문항)

사회복지실천 : 사회복지실천론(25문항), 사회복지실천기술론(25문항), 지역사회복지론(25문항)                          

사회복지정책과 제도 : 사회복지정책론(25문항), 사회복지행정론(25문항), 사회복지밥제론(25문항)

 

학교사회복지사 주요 업무

임상전문가 : 학생을 위한 개별  · 집단상담 및 치료적 개입

교육자/자문가 : 학습, 진로를 위한 정보 제공

                         사회성 기술, 학습전략, 의사소통 훈련, 각종 예방을 위한 교육

매개자/연계자 : 학생과 가족에게 필요한 자원의 발굴, 연계

조정자/중재자 : 학생과 환경 사이에서 양자 모두의 문제해결 과정을 조정, 중재

옹호자 : 학생과 가족의 인권을 보장하기 위한 옹호활동

자원개발자 : 학생과 가족, 학교에 필요한 지역사회자원의 발굴 및 개발촉진

공저자/협력자 : 교사를 비롯하여 다양한 전문가, 과련 기관과의 협력, 공조

조사연구자 : 실태조사 및 효과성 연구를 통한 효과적 복지 서비스 제공

정책제언가 : 학생복지증진을 위해 다양한 수준에서의 정책감시, 제언에 참여

 

학교사회복지 제도화 과정

 

출      현 : 1969년 캐나다 유니테리언 봉사회 마포사회복지관

도 입 기 : 1995년 국민복지기획단 건의

                1996년 교육부의 공식 표명

시범사업 : 1997 - 2007년 서울시교육청시범사업 5차 실시

                 1997 - 1999년 교육부 연구사업 실시

입법시기 : 현재 법제화를 위해 국회 법안 상정 진행 중

사회복지사업법 법적 근거 : 없음

공 식 화 : 20217년 학교 현장 사회복지사 교육복지우선 지원사업

학회창립 : 1997년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협회창립 : 2004년 한국학교사회복지사협회

실습/수련 : 학기 중 한 학기 과정 , 240시간 심화학습

자   격 : 2005년 제1회 실시

             한국학교사회복지사협회 주관 민간자격

외국사례 : 미국 → 1975년 장애아교육법이 제정되면서 제도화

                 영국 → 1944년 교육법 개정에서 교육복지사 규정 명시

 

출처 : 이종익 외 2인 한국 학교사회복지의 제도화 과정, 학교사회복지

 

개인의견 : 현재 사회복지사 입법 근거가 없으며 입시위주의 교육으로 학교사회복지가 한시적인 사업으로 고용이 불안정.

미국, 영국에 비하여 55년 - 79년 뒤처져있다. 조속히 입법이 제정되어 공식적인 제도화를 요구한다.

 

학교복지사회복지 관련사업 영역

 

1.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교육복지우선사업 정의

- 저소득층 영아 및 아동, 청소년의 교육 기회, 과정 결과에서 나타나는 주요 취약성을 최대한 보장하기 위한 교육, 문화, 복지 등의 지원 사업이다

- 학교가 중심이 되는 지역공동체 구축을 통해 학습, 문화, 심리 정서 등 삶의 제반에 대한 지원을 함으로써 저소득층 아동, 청소년의 교육적 취약성을 해결해 나가고자 한다

 

교육복지우선사업 내용

학습능력증진, 문화체험 활동, 건강증진을 위한 심리정서 발달, 지원복지프로그램 활성화지원

교육부 산하 시 · 도교육청 및 교육지원청이 주관하여 도시 저소득층이 밀집한 학교를 우선지원사업을 실시

 

2. 지방자치단체사업 : 지방자치단체에서 지역의 아동 · 청소년복지를 위하여 학교사회복지사업을 실시함. 경기도 일대에서 시실 되고 있음

 

3. 드림스타트 사업 : 드림스타트사업은 아동의 공평한 양육여건과 출발기회를 보장하기 위해 저소득층 임산부 및 0 - 12세

아동과 그 가족에게 보건, 복지, 교육을 통합한 전문적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가주도의 선진 아동복지 프로그램.

출처 : 한국복지사협회

 

현장실습확인서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