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장기요양요원지원센터의설치/장기요양요원지원센터 업무/서울시 장기요양요원지원센터 조례 (노인장기요양보험법 30-11) 장기요양요원지원센터 장기요양보험법에서는 2016. 5. 29일 장기요양요원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장기요양요원센터를 설치 · 운영할 수 있다는 법을 개정하였다. ■ 법률신설 의의 -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장기요양요원의 처우를 개선하고 복지를 증진하며 지위를 향상하기 위하여 적극적으로 노력한다. - 보건복지부장관은 5년 단위로 장기요양기본계획을 수립 · 시행할 때 장기요양요원의 처우에 관한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 - 장기요양요원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권리 침해에 관한 상담 지원, 장기요양요원의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지원, 건강관리를 위한 교육지원과 건강검진 등 건강관리를 위한 사업 등의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장기요양지원센터를 설치. 운영하도록 하고 있다. - 3년마다 정기적으로 장기요양요원의 근로조.. 더보기 재가급여 복지용구 품목별 사용 횟수 (노인장기요양보험법 30-10)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제23조 장기요양급여의 종류 중 재가급급여에서 다루는 기타재가급여 편 복지용구 품목별 사용가능 횟수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합니다. 2023.12.29 - [자격증/노인장기요양보험법] - 장기요양급여 등급별 월 한도액/ 복지용구 연 한도액/ 복지용구 시설입소 제한/ 복지용구 구입품목/ 복지용구 대여품목/복지용 구입 또는 대여 품목/ 복지용구 대상자별 부담률 (노인장기요양.. ■구입품목 1. 이동변기 : 화장실로 이동하기 어려운 경우 용변을 쉽고 안전하게 볼 수 있는 품목, 사용가능 횟수 : 5년 2. 목욕의자 : 목욕 시 자세유지 및 편안한 목욕을 도와주는 품목, 사용가능 횟수 : 5년 3. 성인보행기 : 보행이 불편한 경우 실내 외에서 혼자서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용품, 사용가능 횟.. 더보기 노인요양시설 직원 배치 기준/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직원 배치 기준/노인요양시설 입소 자격 (노인복지법) 노인복지법 제34조의 노인의료복지시설은 노인요양시설과 노인공동생활가정의 시설을 두어야 한다.. 노인요양시설은 치매 · 중풍 등 노인성질환 등으로 심신에 상당한 장애가 발생하여 도움을 필요로 하는 노인을 입소시켜 급식 · 요양과 그 밖에 일상생활에 필요한 편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는 시살이다. 노인공동생활가정은 치매 · 중풍 등 노인성질환 등으로 심신에 상당한 장애가 발생하여 도움을 필요로 하는 노인에게 가정과 같은 주거여건과 급식 · 요양, 그 밖에 일상생활에 필요한 편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는 시설이다. 노인의료복지시설 직원의 배치 기준 ■ 노인요양시설 1. 입소자 30명 이상 (1) 시설의 장 : 1명 (2) 사무국장 : 1명(입소자 50명 이상인 경우로 한정) (3) 사회복지사 1명(입소자 10.. 더보기 재활기관 근로복지공단/ 산업재해보상보험법 급여 종류/ 근로복자공단 간병급여 (요양급여 범위)/ 업무상 재해 인정 기준/상병보상연금/산업재해보상보 근로복지공단 설립 근거 (재활기관으로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제10조 근로복지공단의 설립) 고용노동부장관의 위탁을 받아 근로자의 근로자의 업무상의 재해를 신속하고 공정하게 보상하며, 재해근로자의 재활 및 사회 복귀를 촉진하기 위하여 이에 필요한 보험시설을 설치ㆍ운영하고, 재해 예방과 그 밖에 근로자의 복지 증진을 위한 사업을 시행하여 근로자 보호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근로복지공단을 설립한다. ■ 산업재해보상보험법 보험급여의 종류 1. 요양급여 요양급여는 근로자가 업무상의 사유로 부상을 당하거나 질병에 걸린 경우에 그 근로자에게 지급한다. 2. 휴업급여 휴업급여는 업무상 사유로 부상을 당하거나 질병에 걸린 근로자에게 요양으로 취업하지 못한 기간에 대하여 지급하되, 1일당 지급액은 평균임금의 100분의 70에.. 더보기 장애인 재활기관 복지상담원/발달장애인 정의/발달장애인지원센터 법적 근거/중앙발달장애인지원센터 업무/지역발달장애인지원센터 업무/발장애인 행정업무 우리 법에서 장애인 재활기관으로 규정되어 있는 기관은 대략 12군데의 대표기관으로 분류되어 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약칭 : 발달장애인법) 제33조 발달장애인지원센터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합니다. 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 ( 약칭 : 발달장애인법)■ 발달장애인 정의 가. 지적장애인: 정신 발육이 항구적으로 지체되어 지적 능력의 발달이 불충분하거나 불완전하여 자신의 일을 처리하는 것과 사회생활에 적응하는 것이 상당히 곤란한 사람 나. 자폐성장애인: 소아기 자폐증, 비전형적 자폐증에 따른 언어ㆍ신체표현ㆍ자기 조절ㆍ사회적응 기능 및 능력의 장애로 인하여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에 상당한 제약을 받아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한 사람 ■ 발달장애인지원센터 ○ 법.. 더보기 뇌졸중(뇌경색) 완치 연재 38회 /체중 관리 효과적인 운동 시기/ 18:8 식이요법/ 5:2 식이요법/ 국가유공자 생활조정수당 진봉이가 뇌졸중 발병 전 72 - 75 kg체중을 뇌졸중 발 후 8년여 동안 63.5 - 65kg를 유지하고 있다. 체중 유지의 비결은 아침 공복 때 1시간 정도 유산소와 근력운동 덕분이었다. 물론 식생활 개선을 병행하여야 한다. 제한식품은 정제된 곡물, 설탕, 정제가공식품, 빵, 유제품, 튀긴 음식 등 절제하기 정말 어려운 식품들이죠 2022.11.09 - [뇌졸중과 성인병 예방 "마늘"/활성산소와 염증] - 활성산소와 염증(뇌졸중 심근경색 동맥경화 등) 8 - 2 이들은 인간에게 주어진 120세의 수명을 유지하게 만든 소화효소를 무차별적으로 강탈하여 체내에 활성산소, 염증, 혈액오염 등을 통하여 성인병인 고혈압, 고지혈증 고혈당을 유발하여 노년의 삶을 파괴하지요 그중 한 명이 진봉입니다. 음주, 흡연.. 더보기 뇌졸중(뇌경색)재활 완치 경험담 37회/국가유공자 진료비 감면비율/공상공무원 범위/요양급여 범위 진봉이가 약 2달 전 10여 년 주치의로 정하여 치료를 받던 의사의 사망으로 당뇨병 진료를 현재의 병원에 진료를 받게 되었다. 진봉이 보다 건강하게 보였던 주치의 사망으로 가는 데는 순서가 없다는 것을 실감 나게 받아들였다. 기존 주치의는 매번 똑같은 진료로 약만 처방해 주었다. 결과는 좋아진 게 없었다. 때로는 병원을 갈아타는 것도 치료의 한 방편이 될 수 있다는 걸 깨달았다. 왜 중환자들이 지방병원을 멀리하고 서울의 대형병원을 찾는지...... 주치의를 바꾸고 진료와 겸사를 받은 결과 당화혈색소 10.5(혈당수치 280), 췌장 50% 괴사, 경동맥 초음파 검사 결과 상당 부분 막혀 뇌혈관도 심상치 않다. 그래서 오늘 뇌 MRI촬영 예약 날짜다. 환자가 주치의 선정이 얼마나 중요한지 새삼 느끼게 되었.. 더보기 뇌졸중(뇌경색) 완치 연재 36회/블로그 소재 찾기 /국가유공자 대상 진봉이가 뇌졸중 재활을 위해 블로그를 시작한 지 어언 1년 7개월이란 시간이 지났다. 그동안 약 400여 개 글을 작성하다 보니 소재가 바닥이 났다. 약 2개월 동안 블로그 소재를 찾기 위하여 여러 방면으로 생각을 하고 조사를 했지만 소재 찾기란 쉬운 게 아니었다. 병원 주치의도 잔봉이 뇌졸중 증세를 보니까 사회생활은 힘들다고 소견을 밝혔다 그러나 지금은 뇌졸중 병세도 어느 정도 상태가 좋아지니까 사회생활의 기회가 주어져 8개월 차 병원 원무과 무인수납기 안내(키오스크) 관리를 하고 있다. 병원 진료과목 24개 중 19개 과목 무인수납을 담당하고 있다. 이제 까지 단순하게 근무에만 몰두하였다 이 일이 블로그 소재가 되리라 생각도 못하였다. 소재거리는 먼 곳에 있는 것이 아니었다. 블로그 소재 2년 치의 ..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 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