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졸중과 성인병 예방 "마늘" 썸네일형 리스트형 불포화 지방산과 항산화 식품 효능 8-4 오메가 3 · 오메가 6의 균형 잡힌 섭취와 황산화 식품의 섭취가 염증을 줄인다. 오메가 6 지방산 섭취를 줄이고 황산화 식품을 섭취하자. 이 번 페이지에서는 우리가 건강을 이야기하면서 건강을 간과하는 것이 아닌가 싶다.. 100세 시대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 중요한 요인들이 많이 작용하지만 일상생활에서 하루에도 수없아 우리 인체에 대한 염증을 유발하는 식품을 먹으면서 건강 유지에 대하여 잠깐 망각하는 것이 있어 이 번 기회에 미음에 각인해 본다. 상온에서 굳는 기름인 포화 지방산과 상온에서도 굳지 않는 액체기름인 불포화 지방산으로 나눈다. 포화지방산은 소기름, 돼지기름, 버터, 마아가린, 코코넛 오일 등이 있습니다. 3종류의 불포화 지방산 첫째, 오메가 3 - 지방산 생선 기름이나, 들기름, 아마씨유,.. 더보기 만성 염증을 유발하는 식품 주범 밀가루 트랜스지방 8 - 3 인간은 염증과 함께 공존한다. 서구생활에 따른 식 습관의 변화, 인스턴트식품의 대량 생산, 전 세계 1위의 배달 음식 문화 등등 옛날 식습관과 너무나 많은 변화를 보이고 있는 게 자명하다. 본 포스팅 전 염증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염증의 어원은 '불붇이다'라는 라틴어에서 유래되었는데 사전적 의미로는 어떤 자극에 대해 우리 몸의 생체조직이 방어를 하면서 일어나는 변화를 뜻한다 이 변화는 4가지의 주요 증상이 있다. 발열, 부종, 도통, 발적(혈관이 확장되면서 피부에 붉은빛이 띠는 것)의 4가지 증상을 말하며 당뇨와 함께 듀엣 침묵의 살인자라고 부를 만큼 위험한 질환이다. 노화에 따른 염증이 심각하며 염증과 함께 늙어 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염증의 분류 염증은 나타난다는 것은 병의 방어적인 면과 동.. 더보기 활성산소와 염증(뇌졸중 심근경색 동맥경화 등) 8 - 2 활성산소와 질병 활성산소는 우리 몸속에서 대량으로 생산되어 자가 면역에 걸린 세포들이 아군의 세포까지 손상시켜 염증이 생긴다. 이염증이 생기는 곳에 활성산소가 발생한다. 염증의 주원인은 외부에서 들어온 이물질과 손상된 몸속 세포인데 산화가 염증을 발생한다고 합니다. 산화스트레스로 상처가 난 세포를 방치하면 이곳에서 활성산소가 대량으로 발생하는데 아 활성산소에 의한 주요 질병을 알아보겠습니다. 활성산소 생성으로 생기는 대표적 질병 1. 뇌졸중, 심근경색 뇌혈전이나 심근경색으로 과산화지질에 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이 쌓여 붙어서 혈관 내벽이 좁아져 혈관이 흐르기 어려운 부위에서 활성산소가 대량으로 발생하여 뇌 또는 심장 근육세포의 파괴 또는 사멸을 촉진한다. ※ 과산화지질 이란 피부에 유해한 대표적 물질로 불포.. 더보기 활성산소와 염증 8 - 1 활성산소와 염증은 모든 질병의 원인이다 활성산소 또는 SOD(super oxide dismurase) 란? 원래 체내에 침입해 온 이물질(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니코틴 등)을 없애는 식세포의 세포막에서 뿜어 나와 식세포가 이물질을 잡고 있는 사이에 그것을 녹여 없애는 역할을 하는 아주 중요한 물질이 활성산소라고 한다. 인간은 태어나면서 SOD라는 효소를 가지고 태어나면서 적정량 이상의 활성산소를 제거함으로써 건강을 유지시키는 작용을 했는데 활성산소의 균형이 오늘날에는 날로 악화되어가는 환경오염으로 자체 내의 SOD만으로 건강을 유지하기 어렵게 되었고, 급격하게 증가한 활성산소는 자체의 세포 및 조직을 침범할 뿐 아니라 체내의 불포화지방산에 반응하여 과산화지질을 만든다. 이 과산화지질이 모든 질병의 주.. 더보기 걷기 운동 뇌졸중 (고혈당 고지혈증 고혈압) 완치 경험5-5 걷기 운동이 내 몸을 살린다 진봉이는 2016.08.16일 08:00경 아침 출근 준비 중 쓰러져 동일 12:00경 인근 병원에 입원하였다. 각 종 검사를 한 결과 뇌경색이었다. 뇌경색 발병원인은 40년여간의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이 원인이었다 거기에 술, 담배도 한몫했을 것이라 생각한다. 병원에 입원 1개월 동안 휠체어를 이용하여 생활을 하던 중 병원에 있어 봐야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하여 재활병원에 입원하여 치료받기로 하고 퇴원하였다. 재활병원 환자들이 모여서 담배를 피워는 모습을 보고 재활병원이 아닌 스스로 재활을 하기로 결심을 하고 걷기 운동으로 재활을 하기로 마음 결정을 하였다 지금은 6년 차 재활을 하고 있습니다. 재활 5년 차 병원 주치의 선생님으로부터 완치 소견을 받았다. 사회생활이 .. 더보기 걷기운동 족저근막염 예방 5-4 걷기 운동에 따른 족저근막염 주의 ■걷기 운동이 좋다고 하는 것은 누구나 안다. 야외 걷기 운동하는 사람들을 보면 모두 제각각이다. 걷기는 가장 부담 없는 운동이지만 자세가 바르지 못하면 균형을 잃어서 넘어 지거나 발의 한 부분으로 체중이 쏠린다 그렇게 되면 피로감이 커지면서 다른 질환이 생기기 쉽다. 잘못된 걸음걸이로 발생되는 대표적인 질병이 족저근막염이다 ■족저근막염이란 무엇인가 진봉이도 걷기 운동 시작할 때 걸으면 무조건 좋다고 해서 하루 일과가 걷기 운동을 했던 기억이 난다 몸의 상태도 안 좋은 데 하루 7-8시간을 걸어니 발에 문제가 생겨 걷지를 못한 경우가 있었다. 그게 여기서 말하는 족저근막염이었다 족저근막염이란 발바닥 근육을 감싸고 있는 막에 과다하게 걸음으로서 생긴 염증으로 반복적으로 미.. 더보기 걷기/근력운동 뇌졸중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 극복 5-3 근력의 중요성 걷기 운동은 예방과 유지의 개념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아파봐야 건강이 얼마나 중요한지, 암이나 타 질병으로부터 고통을 받은 경험이 있는 환자 분들의 후회는 젊을 때 건강 관리를 하지 않는 것에 대한 뒤늦은 후회입니다. 인생의 많은 부분이 후회로 끝나지 않나 생각합니다. 그중 건강에 대한 결과는 내 사랑하는 가족에 심려와 걱정을 끼쳐 고통을 준다는 것입니다. 진봉이도 운 좋게 걸음의 중요성을 뒤늦게 알고 6년 간의 걷기를 통한 재활을 거쳐 인간의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뇌졸중 환우 분 뇌졸중 극복은 의사가 고쳐주는 게 아니라 본인이 고치는 것입니다. 의사는 5% 나머지 95%는 본인 몫이라 생각합니다. 의사와 약사는 내심 뇌졸중 , 고혈압, 고지혈증 치유를 바라지 않을 겁니다.. 더보기 걷기운동 뇌졸중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 극복 5-2 뇌졸중 전조증상 징후평소와 다른 걸음걸이는 신경계통의 이상을 알리는 신호이므로 주의 깊게 봐야 합니다. 걸음걸이가 한쪽으로 기울거나, 보폭이 지나치게 넓어지는 증상, 갑자기 비틀거리거나 자주 넘어지는 증상과 함께 두통, 현기증, 시력약화, 수족 무력감, 청력 이상 등은 걸음걸이로 생기는 몸의 이상을 가장 먼저 알려 주는 징조입니다. 특히 어지럼증은 뇌졸중 발병 후 약 1년간 지속됐습니다. 낯 술 한 잔 한 것처럼 정신이 몽롱한 상태라서 혼자서 걷는 것을 조심해야 합니다. 뇌졸중 발병 후 대부분의 환자는 오래 앉아 있거나 누워 있기 때문에 병의 진전이 없습니다. 걷기 운동은 활동으로 인한 근육의 수축 및 이완을 방지하고 다시 인생을 재기할 수 있는 기반이 될 수 있다. 제 경험상 초창기에는 자포자기한 상태.. 더보기 이전 1 ··· 11 12 13 14 15 16 다음